layout: post
title: "[한능검] 제25강-조선의 성립과 기틀마련"
date: 2019-05-30
desc: "한국사능력검정시험 (고급) 제 25강"
keywords: ""
categories: [Life]
tags: [한국사, 한능검, 한국사능력검정시험, 고급, 조선, 성립, 이성계, 조선시대]
icon: icon-html
목차
- 1,2강 우리 역사의 기원과 형성
- 3강 고조선의 건국과 발전
- 4강 여러나라의 성장
- 5강 고구려의 성립과 발전
- 6강 백제의 성립과 발전
- 7강 신라의 성립과 발전
- 8강 가야의 성립과 발전
- 9강 고구려의 대외항쟁과 신라의 삼국통일
- 10강 삼국의 생활모습
- 11강 삼국의 문화유산과 문화전파
- 12강 통일신라 왕권변화와 통치체제정비
- 13강 발해의 성립과 발전
- 14강 남북국의 생활모습과 문화
- 15강 후삼국의 성립
- 16강 고려의 후삼국 통일과 발전
- 17강 고려의 통치체제
- 18강 문벌 귀족 사회와 무신정권
- 19강 고려의 대외관계
- 20강 공민왕의 개혁정치와 고려의 멸망
- 21강 고려의 경제
- 22강 고려의 사회
- 23강 고려의 학문과 사상
- 24강 고려의 기술과 문화유산
- 25강 조선의 성립과 기틀마련
25강 조선의 성립과 기틀마련
- 조선의 성립
- 신진 사대부의 분화
- 온건 개혁파: 정몽주, 이색 // 고려왕조 유지, 점진적 개혁 주장
- 급진 개혁파: 정도전, 조준 // 새로운 왕조, 역성 혁명 주장
- 신흥무인세력 (이성계)
- 위화도 회군 (이성계): 최영제거, 우왕 폐위, 실권장악
- 과전법 실시: 신진사대부의 경제적 기반 마련
- 조선 건국 (1392): 온건파 사대부 (정몽주 등) 제거
- 국가의 기틀마련
태조(이성계)
한양천도, 경복궁 건설
정도전의 활약
조선 건국 주도
[조선 경국전]
[불씨잡변]
태종(이방원)
- 왕자의 난 즉위, 개국공신 축출
- 왕권 강화
- 6조 직계제 실시: 6조에서 의정부를 거치지 않고 국왕에게 직접 보고하도록 한 제도
- 사병 혁파
- 호폐법 실시 (경제 기반 마련)
- 혼일강리역대국도지도 (세계지도) 제작
- 신문고 제도 실시
세종
- 유교정치 실현
- 집현전 설치(학문 연구 기관), 경연활성화
- 의정부 서사제 실시 -> 왕권과 신권의 조화 추구
- 6조에서 보고하는 일을 의정부에서 논의한 후 국왕에게 올리는 제도
- 대외 관계 변화
- 영토확장: 4군(최윤덕) 6진(김종서) 개척
- 대마도 정벌 (이종무)
- 3포 개항: 부산포, 제포, 염포 개항
- 계해약조 체결: 일본과 교역
- 민족 문화 발달에 기여
- 훈민정음 창제 및 반포
- 혼천의, 양부일고, 자격루, 측우기 등 제작
- [칠정산] 내외편-햔양을 기준으로 계산 한 천체운동, [향약집성방]-국산 약재와 치료방법 정리, [농사직설], [삼강행실도] 등 편찬
세조(수양대군)
- 계유정난 - 단종 폐위으로 권력장악 -> 사육신 처형
- 왕권 강화
- 6조직계제 실시
- 집현전, 경연 폐지
- 직전법 실시 - 현직관리에게만 수조권 지급
성종
- 경국대전 완성 및 반포: 세조 때 시작, 성종 때 완성
- 홍문관 설치, 경연 활성화
- 6조직계제 유지 // (중종 때 의정부 서사제 실시됨)
- [동국통감]-역사서, [동국여지승람]-지리서, [동문선]-시와 산문 수록
댓글 영역