layout: post
title: "[한능검] 제17강-고려의 통치체제"
date: 2019-05-15
desc: "한국사능력검정시험 (고급) 제 17강"
keywords: ""
categories: [Life]
tags: [한국사, 한능검, 한국사능력검정시험, 고급, 고려, 통치체제]
icon: icon-html
목차
- 1,2강 우리 역사의 기원과 형성
- 3강 고조선의 건국과 발전
- 4강 여러나라의 성장
- 5강 고구려의 성립과 발전
- 6강 백제의 성립과 발전
- 7강 신라의 성립과 발전
- 8강 가야의 성립과 발전
- 9강 고구려의 대외항쟁과 신라의 삼국통일
- 10강 삼국의 생활모습
- 11강 삼국의 문화유산과 문화전파
- 12강 통일신라 왕권변화와 통치체제정비
- 13강 발해의 성립과 발전
- 14강 남북국의 생활모습과 문화
- 15강 후삼국의 성립
- 16강 고려의 후삼국 통일과 발전
- 17강 고려의 통치체제
- 18강 문벌 귀족 사회와 무신정권
17강 고려의 통치체제
- 중앙관제: 당의 관제도 일부 수용
- 도병마사: 국방문제
- 식목도감: 법의 제정
--> 고려 독자적 운영, 임시 회의 기구(합좌 기구), (추밀+재신)- 2성 6부제
- 중서문하성
- 재신: 정책 심의
- 낭사: 정책 비판
- 상서성: 정책집행
- 6부: 행정실무 담당
- 중추원
- 추밀: 군사기밀
- 승선: 왕명출납
- 어사대: 관리 감찰
- 삼사: 회계 (곡식, 화폐)
- - 대간 (낭사+어사대): 서경(관리 임명 동의), 간쟁(왕의 잘못 직언), 봉박(잘못된 왕명 돌려보냄) - 왕건 견제
- 지방 행정 조직
- 양계(북계, 동계): 군사지역 -> 병마사 파견
- 5도: 안찰사 파견
- 경기: 개경 주변지역
행정조직 설명 경 개경: 고려의 도읍지
3경: 개경, 서경, 동경(문종 때 남경을 설치하여 동경을 대신함)4도호부 군사적 성격 8목 목사를 파견
- 주현과 속현
- 주현(지방관 파견 o)<속현(지방관 파견 x): 향리가 속현을 다스림
- 향. 부곡. 소: 특수행정구역 - 일반 군현보다 더 많은 조세 부담
- 향과 부곡: 농업종사
- 소: 광업, 수공업
- 군사조직
- 중앙군
- 2군: 국왕 친위 부대(응양군, 용호군)
- 6위: 수도와 국경방어
- 지방군
- 주진군(상비군): 양계(군사지역)에 배치
- 주현군: 경기, 5도에 배치
- 과거제도
- 문과
- 제술과: 문학적 능력 (글짓기) --> 고려시대에는 제술과
- 명경과: 유교경전 이해 --> 조선시대에는 명경과
- 잡과: 의학, 천문, 지리 등 기술관
- 승과: 승려 --> 고려는 불교 중시
- 응시자격: 양인 이상, 지방 향리들이 중앙관직으로 진출하는 통로
- 음서: 왕족, 공신 5품이상 고위 관료 자손에게 관직 부여 (낙하산?)
댓글 영역