layout: post
title: "[한능검] 제19강-고려의 대외관계"
date: 2019-05-21
desc: "한국사능력검정시험 (고급) 제 19강"
keywords: ""
categories: [Life]
tags: [한국사, 한능검, 한국사능력검정시험, 고급, 고려, 대외관계]
icon: icon-html
목차
- 1,2강 우리 역사의 기원과 형성
- 3강 고조선의 건국과 발전
- 4강 여러나라의 성장
- 5강 고구려의 성립과 발전
- 6강 백제의 성립과 발전
- 7강 신라의 성립과 발전
- 8강 가야의 성립과 발전
- 9강 고구려의 대외항쟁과 신라의 삼국통일
- 10강 삼국의 생활모습
- 11강 삼국의 문화유산과 문화전파
- 12강 통일신라 왕권변화와 통치체제정비
- 13강 발해의 성립과 발전
- 14강 남북국의 생활모습과 문화
- 15강 후삼국의 성립
- 16강 고려의 후삼국 통일과 발전
- 17강 고려의 통치체제
- 18강 문벌 귀족 사회와 무신정권
- 19강 고려의 대외관계
19강 고려의 대외관계
거란의 침입
- 거란의 요나라 건국
고려 초기 - 거란 적대 (만부교 사건)
- 1차 침입 (소손녕)
- 서희의 외교담판 -> 강동 6주 흭득
- 2차 침입 (거란 성종)
- 강조의 정변 구실
- 양규의 활약 (침입을 막지는 못함)
- 초조대장경 간행
- 3차 침입 (소배압)
- 강감찬의 귀주대첩 (1019) (침입 방어)
- 천리장성, 개경의 나성 축조
- 여진의 침입
- 여진족의 성장으로 두만강 진출 -> 고려와 충돌
- 윤관의 별무반 편성, 동북 9성 축조
- 금 건국 (요 멸망)
- 고려에 군신관계 요구
- 금과 사대관계 (인종) --> 묘청의 서경천도 운동의 계기가 됨
몽골의 침입
- 칭기츠칸의 몽골 통일
- 거란 vs 몽골 + 고려 (강동성 전투)
- 과도한 조공 요구 -> 저고여(사신) 피살
1차 침입
- 충주성 전투
- 귀주성 전투 (박서의 항전)
- 개경 포위
2차 침입
- 강화 천도 (최우)
- 처인성 전투 (김윤후의 살리타 사살)
- 초조대장경 소실
3차 침입
- 4년간 항전
- **황룡사 9층 목탑 ** 소실
- 팔만대장경 간행
4,5,6차 침입
노비문서를 불태우고, 다인철소의 주민들이 싸움
개경환도
무신정권 붕괴
원의 내정간섭
삼별초의 항쟁 (배중손)
강화도 -> 진도 -> 제주도
홍건적과 왜구의 침입
- 홍건적
- 원의 국력 쇠퇴
- 홍건적(한족 농민 반란군)
- 2차 침입
- 개경 함락
- 최영과 이성계 등 신흥무인세력의 활약
- 왜구
- 일본 해적…
- 홍산대첩(1376) - 최영의 왜구 격퇴
- 진포해전(1380) - 최무선의 화통도감 (화포)
- 황산대첩(1380) - 이성계의 활약 (황산대첩비)
- 대마도 정벌(1389) - 박위
댓글 영역